그레나다는 중남미 카리브해에 위치한 자그마한 섬나라이다.
평소 들어보지도 못할 섬나라들 중 하나인 그레나다에 왜 꽂히게 되었냐면
유투브 알고리즘이 미국의 그레나다 침공에 대해 설명하는 영상으로 이끈 덕분이다.
1983년 약 2개월 동안 있었던 이 침공은
그레나다에 공산주의 이념을 가진 군사혁명정부가 수립됨에 따라
안보에 불안을 느낀 미국과 동카리브 안전보장 기구 국가들이 침공한 사건이다.
쿠바 미사일위기 이후 냉전이 거의 절정에 치달을 때였고,
이러한 침공에 맞서 쿠바는 병력을 파견하였고, 소련, 북한 등 공산권 국가들은 고문단을 파견하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의 그린베레 등의 전투력 뛰어난 특수전부대들과 막대한 지원을 견뎌낼 수 없었고,
사실상 미국은 완전한 승리를 달성하게 된다.
그레나다 침공사건에서 짚어볼 두가지 지점은
1. 투입병력 대비 사상자가 많은 편인데, 이는 치열한 전투가 몇 차례 있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사망자 19명 중 17명이 아군끼리의 오발 및 사고로 발생했다는 점은 비밀작전으로 인한 명목으로 정보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린베레, 네이비씰, 미 육군, 공군 등 여러 부대가 작전에 참여한 합동작전에서의 정보 교환은 상당히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정보공유 실패는 아군지휘소에 폭격하는 등의 비전투손실을 발생하게 만들었다.
2. 국제기구 역할의 한계점을 여실히 들어내었다. 그레나다 침공 후 UN 안전보장위원회에서 군사간섭의 국제법 위반 우려, 그레나다의 주권 보호, 외국군의 즉시 철수를 골자로 결의안을 채택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이를 거부하고 평화유지군으로 이름만 바꾼채 군사작전을 지속한다. 상임이사국에만 주어지는 강력한 비토권, 그리고 국제사회에서의 미국의 권위에 짓눌려 국제기구는 현실적으로 아무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유투브에서 그레나다 침공영상을 보려고 grenada 치니까
grenada soca라고 줄줄이 연관되길래 검색해보니 이는 그레나다의 전통음악의 일종이다.
위키백과에서 소카는 인근의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노래라고 되어있지만,
카리브해 국가에서 보편적으로 즐기는 음악 형태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특히, 그레나다 소카라고 해서 Jab Jab soca라고 불리기도 하는 독창적 스타일이 있다.
카리브해 국가들은 전통적으로 J’Ouvert (주베르)라고 아침부터 드럼을 치고
얼굴에 진흙이나 당밀 같은 것들을 검게 칠해서 흥겹게 돌아다니는 축제가 있는데
이를 통해 각국의 특색있는 리듬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Jab Jab soca라는 명칭은 1991년에 그레나다 뮤지션들에 의해 기록이 되기
시작했으며, Tallpree의 "Old Woman Alone"이라는 노래에 들어 있는
Jab Jab으로 하여금 이름이 붙게 된다.
(참고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aFrr2H14Aow)
주요 특징은 소라껍질을 이용한 리듬과
call-and-response 형태의 가사를 가지고 있는 것과
역시나 드럼이 메인이라는 점이다.
BPM은 대략 140-160 사이라고 하는데,
아래 언급할 Soca challenge에서는 Power soca (135BPM 이상),
Groove soca (135BPM 이하)로 나뉘어 다변화하고 있는 듯하다.
아래 리믹스 영상을 들어보면 시작부터 어떤 흥겨운 노래인지 감이 올 것 같다.
특히 매년 여름에는 그레나다에 Spicemas라는 대규모 축제가 있다고 하는데
한국에서는 멀리 떨어져 있어서 잘 안알려져 있지만
꽤나 유명한 축제 중에 하나라고 하며,
카니발 뿐만 아니라 여러 행사를 연다.
Spicemas Grenada
spicemasgrenada.com
축제 중에 Soca Monarch라고 해서 소카음악 경연대회가 있다.
위 영상도 2019년 경연대회 나온 음악을 리믹스한 것이다.
그레나다에 딱히 여행할만한 구석은 없어보이지만,
카니발은 확실히 음악을 들으니 땡길 수 밖에 없다ㅎㅎ
그레나다 역사로부터 시작된 아주 짧은 개인적인 역사문화 탐방.
- 참고 자료
'Short thought > 생각나는대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U의 동상이몽?: 우크라이나 전쟁 (0) | 2022.06.15 |
---|---|
리투아니아의 자유열망: 러시아와 중국에 대응하다. (0) | 2022.06.12 |
러시아발 위기의 반대급부?: 한국산 무기 수출 (0) | 2022.06.10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단상 (2) (0) | 2022.06.08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단상 (1) (0) | 2022.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