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S/Remote Sensing

위성영상의 해상도 (The resolution of satellite image)

 

  위성영상은 대상물에서 방사 또는 반사된 전자기파를 인공위성 센서가 수집한 영상으로,

 이 영상의 해상도는 공간해상도, 분광해상도, 방사해상도, 주기해상도로 분류해서 영상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1. 공간해상도 (Spatial Resolution)

   - 우리가 통상 알고 있는 해상도의 정의와 가장 부합 (고해상도의 사진이라고 일컫는 것과 같은 의미)

   - 위성영상은 사진처럼 무수한 픽셀로 구성된 래스터 이미지

   - 공간해상도는 그 픽셀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작을수록 더욱 정밀한 영상 표현이 가능해짐

   - 1m, 5m, 30m 등 그 픽셀의 크기를 나타내는 급으로 해상도를 표현

     * 1m급 해상도를 가진 위성영상은 적어도 연직으로 보았을 때 가로 세로 너비가 1m 이상의 크기인 물체는

       위성영상을 통해 식별이 가능하다는 의미

 

(참고: sciencedirect.com)

 

  2.  분광해상도 (Spectral Resolution)

     - 센서에서 얼마나 다양한 전자기파 파장을 수집할 수 있는 능력

     - 더 짧은 범위로 파장을 수집할 수 있으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동일한 범위에서 더 많은 분광정보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 

     - Black and White <<< RGB <<< Multi-spectral Sensor <<< Hyper-spectral Sensor

 

(출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 방사해상도 (Radiometric Resolution)

     - 센서에서 수집한 영상이 얼마나 다양한 여러 개의 파장으로 표현되는가를 표시하는 정도

     - 즉, 한 픽셀에서 표현할 수 있는 값(value)의 범위를 의미

     - 이를 표현할 때는 bit의 수로 표현을 하며, 2bit는 4개, 3bit는 8개... 로 2의 n승만큼 표현이 가능 

       * 높은 숫자의 bit일 수록 여러 분류에 의해 위성영상에 대한 표현이 가능해진다.

       * Landsat-5나 SPOT 인공위성은 8bit의 영상으로 표현이 가능 (0~255 값 사용)

(출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4. 주기해상도 (Temporal Resolution)

     - 지구상의 특정지역을 얼마나 자주 촬영하는지 표현

     - 인공위성의 재방문주기와 동일한 의미

     - 재방문주기가 짧을수록 동일 지역에 대한 변화 파악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음 

'GIS > Remote Sen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탐사(remote sensing)와 인공지능  (0) 2022.07.04
위성영상 촬영방식  (0) 2022.06.16
스펙트럼 반응 (Spectral response)  (1) 2020.05.14
센서의 종류 (Sensor type)  (0) 2020.05.05
위성궤도 (satellite orbits)  (0) 2020.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