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학 복습차원에서 읽으며 생각 정리..
마크 먼모니어 저, 이상일, 손일 역
1장. 서론 (Introduction)
복잡한 3차원의 세계를 평평한 종이나 화면에 나타내려면 지도는 실체를 왜곡하지 않을 수 없다. 지도학적 역설을 피할 수 없기에 유용하고 진실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올바른 지도는 선의의 거짓말을 해야 한다. (지도학적 표현이 고의적이거나 실수, 아니면 무의식적인 고려로 인해서 잘못되는 사례들은 많았다.)
지도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일반 대중들도 소프트웨어가 제공하고 있는 기본적인 도구를 이용하여 그럴듯한 지도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지만 수많은 오류들이 지도 상에 내재되고 있음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책에서는 "당신이 보고 있는 한장의 지도는 동일한 상황에서 동일한 데이터로부터 생산될 수 있는 수많은 지도 중 하나에 불과하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마크 먼모니어는 책을 통해 지도에 대한 건전한 회의주의를 진작하고자 하는 것이지 지도에 대한 냉소적인 자세와 불신을 키우고자 함은 아니다. 지도에 대한 올바른 사용과 이해를 갖기 위한 것이 주된 목적이다.
2장, 지도의 요소 (Elements of Maps)
지도는 축척, 투영, 기호화라는 기본적인 속성을 지닌다.
가. 축척
- 비율식 축척 : 1:10,000 or 1/10,000 등의 숫자로 표현
대축척 지도와 소축척 지도로 분류되나, 분류의 기준이 무엇이냐에 따라 그 분류는 나뉘게 된다.
통상 많은 것을 보여줄 수 없는 소축척 지도에는 지구에 대한 거짓말 (일반화라고 이야기 하고 싶다.)이
많아질 수 밖에 없다.
- 서술식 축척: 국제 SI 표준이 아닌 영미식 거리를 사용하는 경우 단위 변환 간 숫자가 복잡한 관계에 이를 사용함
"1마일을 1인치로 나타낸다." 에서 1마일과 1인치가 동일하다고 표현하는 것은 문자 그대로는 어울리지
않는 표현이다. → '해당한다'라는 표현이 보다 적절하다.
- 그래프식 축척 : 막대기(bar scale) 타입 가장 편리하고 안전한 방법
- 줌 슬라이더 : 웹 맵과 같은 대화형 지도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
나. 지도 투영법
- 투영면에 따른 투영방법: 원통(cylinder), 원추(cone), 평면(planar)
* 범지구적인 투영법으로 원통투영법을 많이 사용하며,
국지적인 경우에는 원추투영법, 극지방을 투영하는 경우에는 평면투영법(방위도법: azimuthal)을 이용한다.
→ 지역마다 적절한 투영면을 선택해서 사용
- 투영면과 지구의 접하는 정도: 할격(secant), 접격(tangent)
* 통상 투영법에서는 할격을 주로 사용하는데 접격보다 왜곡의 수준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국제적으로 통상적으로 쓰이는 TM(transverse Mercator) 투영법도 할격원통투영법이다.
- 투영을 하면서 지구의 모든 요소를 그대로 살릴 수는 없으며, 특정한 속성을 왜곡하지 않으려면,
그 외의 대상은 왜곡되어질 수 밖에 없다.
(거리, 면적, 각도, 방위)
- 특히, 정적성(면적)과 정형성(각도)는 가장 뚜렷한 상충관계(trade-off)를 나타내고 있다.
- 정적성을 유지한 지도는 점묘법(dot distribution map)을 표현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지역 내 점의 개수가 밀도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지역별 정확한 면적을 표현해야 하기 때문이다.)
- 반면, 정형성을 가지고 있는 지도는 항로를 도시할 때 효과적이다. (항정성, 등각항로)
- 등거성을 가지고 있는 지도는 한 지점에서부터의 거리를 표현할 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책에서 제시한 좋은 예시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거리를 표현하는 것을 제시하였음)
다. 카르토그램(cartogram)
- 고도의 맞춤형 지도로서 지도의 본질적인 속성을 무시하고 디자인적 요소에 치중하여,
제작자가 정말 전달하고 싶은 요소 또는 기능들만 포함하여 제공
- 지도학자들은 카르토그램을 멍청하고 부정확한 그림 정도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지도가 만들어지게 된 기본적인 취지를 생각해 보자면 어디로 가는지 알아야 할 때, 보면서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작되었음을 생각해보았을 때, 상대방이 보고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면 이 것도 하나의 지도라고 보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라. 지도 기호 (Map Symbol)
- 지도 기호의 범주 (점, 선, 면)
- 시각 변수(visual variables): 크기, 형태, 조도, 질감, 방향, 색상
※ 대상마다 표현하기 적합한 범주와 변수를 가지고 있음
ex) 조도는 비율이나 강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단계구분도(choropleth map)에 적합
- 데이터와 시각 변수를 잘못 결합하면 이용자의 입장에서 혼란스러움
ex) 원색계열의 여러 색을 한 번에 사용하는 행위 / 주로 음영의 구분을 사용
'Cartography > Principle of Cartogra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도와 거짓말 (How to lie with map) 2: 5장 컬러 (0) | 2022.09.22 |
---|---|
지도와 거짓말 (How to lie with map) 2: 3장 지도일반화 ~ 4장 지도학적 실수들 (0) | 2022.09.21 |
Relief representation (0) | 2020.01.14 |
Name on maps (0) | 2020.01.14 |
Automatic Generalisation (0) | 2020.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