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개체(Entity): 동일한 종류의 현상을 더 세분화할 수 없는 현상
벡터(vector)
지도를 구성하는 점, 선, 면을 위치 좌표로 표현하는 방식 → 객체 관점이 적용됨
- 점, 선, 면 객체를 활용하여 특정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을 인스턴스화(instantiation)라고 부른다.
- 다중 표현 문제(multiple representation problem)
축척에 따라서 면 객체 (대축척)가 점 객체 (소축척)로 표현될 수 있다
- 기본적으로 지리적 공간이 비어있기 때문에 저장 용량을 많이 차지하지는 않는다.
- 그러나, 위상관계(topology)를 통해 객체 간의 공간적 관계를 정의함으로써 특정한 공간분석에 도움을 준다.
래스터(raster)
지도 최소화단위 (픽셀, 셀 등으로 부름)로 이루어진 격자 형태로 표현하는 방식 → 연속면 관점이 적용됨
- 연속면 관점: 공간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속성 (해발 고도 등) → 다만 TIN형식으로도 표현 가능(벡터 형식)
공간의 연속성(contiguity)과 연속면의 자체 완결성(self-definition)
- 범주형 변수로 대상지역을 구분할 때도 효과적이다
(토지피복도에서 0 (물) 1 (도로) 2 (숲) 3 (노지) 등으로 속성별로 범주화시키는 것을 의미)
- 공간의 모든 곳이 값을 같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벡터보다 더 많은 저장용량이 필요하다.
- 픽셀에 2진수 형태의 숫자 집합단위로 데이터가 저장되므로 단순한 사칙연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공간연산에 효율적인 구조이다.
# 지구상의 공간개체를 벡터, 래스터 어떤 방법으로도 표현 가능하므로 이 구분방식에 지나치게 의존해서는 안되며,
데이터 저장방식과 지도 표현 방식 역시 독립적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모델을 선택 활용해야 한다.
1) 인구통계자료는 객체 형태로 저장 관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연속면 형태의 모형화도 유용하게 활용됨
2) 고도 표현 역시 연속면 형태가 효율적이었으나 TIN구조의 객체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함
3) 도로망 네트워크는 객체 형태로 관리되었으나 실제 교통량 등의 정보는 이미지로부터 얻어지므로 실제 데이터는
래스터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셈
- 참고: 지리정보분석원리, 데이비드 오설리번&데이비드 언윈, 푸른길
'GIS > GIS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속면 분석 (1) (0) | 2023.04.17 |
---|---|
Vector and Raster overview (writing) (0) | 2020.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