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섭측위 위상차 관측방법
일중차 관측법: 한 개의 위성과 두 대의 수신기를 이용한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 측정차
이중차 관측법: 두 개의 위성과 두 대의 수신기를 이용하여 각 위성에 대한 1중차끼리 차이값
삼중차 관측법: 한 개의 위성에 대한 어떤 시각과 다음 시각의 위성 적산값의 차이값
- GPS측량 방법
절대관측방법(1점 측위): 4개 이상의 위성에서 C/A code 이용 실시간 처리
스태틱 측량 (정치측량): 2개 이상의 수신기부터 4개 이상의 위성으로 30분 이상 수신, 기준점 측량
DGPS: 상대측위방법, 기지점 좌표 이용 오차를 최대한 줄이는 방식
RTK: 상대측위방식 L1/L2 반송파를 처리 1~2cm 정리 위치정확도
- GNSS 국가기준점측량 작업규정
GNSS 관측은 정적간섭측위방식으로 실시한다.
동시 수신 위성수는 4개 이상이어야 한다.
고도각 15도 이상의 위성을 사용한다.
GNSS 관측 시 사용하고자 하는 위성기준점의 가동상황을 관측 전후에 확인한다.
국가기준점의 지반침하 등을 고려하여 설치완료 24시간이 경과한 후 침하량을 파악하여 지반
침하가 없는 경우에 관측을 실시한다.
- GNSS 구조적 요인에 의한 오차
위성시계오차 위성궤도오차 전리층, 대류권의 전파 지연오차 수신기 전자파적 잡음 오차
- 전리층 지연오차
주파수에 따라 달라진다.
전리층 활동이 심한 낮이 밤보다 오차가 크다.
태양과 상관이 없다.
제거할 수 있는 오차이다. (2주파 L1,L2 수신기를 이용하여 제거)
위성신호가 전리층을 통과할 때 위상은 광속보다 빨라진다.
- 1개 위성의 위치 정확도가 x일 때, n개의 위성 사용시 발생하는 오차는 전파법칙에 의해
√n × x 만큼 발생한다.
- 단독측위오차 (근사적)
√PDOP2 + 2(위성의 오차)2 + 2(의사거리오차)2 + (좌표변환오차)2
- DOP의 종류
GDOP 기하학적(4) PDOP 위치(3) HDOP 수평 VDOP 수직 RDOP 상대 TDOP 시간
- 위성 시스템
미국 GPS / 러시아 GLONASS / 유럽 GALILEO / 중국 Beidou / 일본 QZSS / 인도 IRNSS
- Cycle Slip:
GPS 반송파 위상추적 회로에서 반송파 위상 관측값을 순간적으로 손실하며 발생
원인: 주위 지형지물, 높은 신호 잡음, 낮은 신호 강도, 낮은 위성 고도각 / 3중차분법
'Short thought >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 (측지기사) 작업형 후기 (대구과학대학교) (0) | 2023.07.28 |
---|---|
측지기사 실기 2회 필답 후기 (1) | 2023.07.22 |
지도제작기능사 자료 (hwp) (0) | 2023.07.18 |
2023 상반기 독서 결산 (0) | 2023.07.03 |
스승의 날을 보내며 (0) | 2023.05.19 |